Search

0131 | 도널드 노먼의 디자인 심리학 (7)

데이터기반의 행동유도성 - 좋은 사례 or 안좋은 사례

01 카카오맵 정보공개 기본값 설정

문제 원인 : 데이터 기반의 행동 유도성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즐겨찾기 폴더를 추가로 만들 때, '공개'가 기본값으로 설정
→ 기업 : 플랫폼 안에 정보량을 늘려 사용자 유입을 늘리고 앱 이용률을 높이는 전략으로 활용
→ 개인 : 공개를 기본 값 설정으로 정보공개 여부를 모른 채 개인 정보 유출 (e.g. 지인 집, 군사 기밀..)

02 구글 Flu Trends

2009년에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보다 2주나 빨리 독감을 예측하는 서비스를 제공
→ 사람들은 감기에 걸리면 약을 구매하러 가거나 병원을 찾기보다는 인터넷으로 간단히 증상 정도만을 확인하고 우선 참아보려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사람들이 감기에 걸리면, 감기 관련 검색어(감기 증상, 기침, 발열 등)의 검색 빈도가 높아지게 되는 것을 ‘구글’은 발견했고 이를 잘 활용했다. ‘구글’은 본인들이 원래 가지고 있던 검색어 수치 데이터의 해석을 달리하여 독감에 걸린 사람이 병원에 찾아와야만 독감을 확인할 수 있는 ‘질병통제예방센터’보다 2주나 앞서 독감을 예측할 수 있었다.
→ 이러한 데이터 활용을 통해, 독감 원인 사망을 사전에 예방하여 질병관리에 긍정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