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24 | 사용자 스토리 맵 만들기

이 책을 읽은 이유

개편된 조직 내에서 프로세스를 동료들과 다시 잘 정해보기 위해 읽었다. (할 수 있다!)

■ 핵심 정리

사용자 스토리 맵 만들 때 유의할 점 :
누가/왜/무엇 에 집중하며 만들기 → 팀과 모여 대화하며 한 방향성을 향해 개진해 나갈 것 → 제품을 점진적으로 개선하며 만들어 나갈 것

■ 내용 정리

PART 1. 큰그림
PART 2. 더 적게 만들기 위한 계획
PART 3. 더 빠르게 학습하기 위한 계획
PART 4. 제때 끝내기 위한 계획
PART 5. 여러분은 이미 알고 있다.
PART 6. 스토리에 관한 진짜 이야기
PART 7. 더 좋은 스토리 이야기하기
PART 8. 카드가 전부는 아니다
PART 9. 카드는 단지 시작일 뿐이다
PART 10. 케이크처럼 스토리 굽기
PART 11. 돌 부수기
PART 12. 돌 깨는 사람
PART 13. 기회로부터 시작하기
PART 14. 탐색을 이용해 공유된 이해 구축하기
PART 15. 유효한 학습을 수행할 때 탐색을 이용하자
PART 16. 개선하기, 정의하기, 만들기
PART 17. 스토리는 애스트로이드 게임과 비슷하다
PART 18. 여러분이 만든 모든 것에서 배우기

■ 나의 생각/관점

이 책을 팀 구성원들과 함께 읽기 정말 잘했다고 생각했다.
책에 나와있듯 모두가 한 방향을 보고 제품을 함께 만들기 위해서 “스토리”가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스토리 방법론을 함께 학습한 건 품이 드는 일이었지만, 공통의 이해도를 높였다는 점에서 잘했다고 생각한다.
아쉬운 점 →
아쉬운 점도 있다. 개인적인 아쉬움은 책을 통해 배운 점을 실무에 적용까지 함께 해볼 수 있으면 좋았을 텐데…그렇게 할 수 없는 상황이 되어버려서 아쉽다.
책에 대한 아쉬움은 초반에 나온 중요한 내용이 끝까지 반복된다는 점이다. 1~6장이면 충분할 것 같은데, 1~18장까지 반복되니 점점 스터디에서 “아하!” 하며 감탄사는 줄어들고, 스터디도 지루해졌다.
배운점 →
앞으로 실무에서 잊지말고 적용할 점은 다음과 같다.
기억하고 적용하기
1.
누가-무엇을-왜”를 중점으로 스토리를 세울 것
무엇을 ? →
“가치있고, 쓸모 있으며, 실현 가능한 것”
사용자가 얻고 싶어 하는 것
2.
스토리 대화란, 우리 모두가 이해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찾기 위해 함께 일하는 과정에 관한 것이다. (p.109)
그러니, 혼자 해결하려 하지 말고, 함께 해결함으로써 최선을 찾자!
3.
팀과 함께 공유된 이해를 구축해야 한다. (p.61)
더 자주 대화하고, 기록하여 공유하자!
4.
추가적인 것을 만들기 위해 점진적인 사고를 하자 (p.73)
점진적으로 제품을 만들 수 있는 환경이 되도록, 성과분석 후 결과로 결론짓지 말고 액션을 제안할 수 있는 동료가 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