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힘에는 책임이 따른다
핵심요약
•
기술의 행동유도
1. 간헐적이고 불규칙한 보상
2. 무한 루프
3. 사회적 확증
4. 기본 설정
5. 방해 요소 제거
6. 호혜성
7. 다크패턴
•
윤리가 중요한이유
1. 좋은의도, 의도치 않은 결과
2. 윤리적 책임
- 기술의 행동유도 / - 윤리가 중요한이유
각 주제별 1개씩 선택 후 해당되는 사례 준비
내용 정리
1. 기술의 행동유도 | 다크패턴
다크패턴(Dark Patterns, 눈속임 설계)이란, 웹사이트나 모바일앱 등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환경에서 상품의 구매나 서비스 이용, 배너 클릭, 개인정보 수집 등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거나 원하지 않은 행동들을 유도하거나 속이기 위해 교묘하게 설계된 인터페이스를 말하며, 이는 영국의 해리 브링널(Harry Brignull) UX 디자이너에 의해 정리된 개념
+. 안좋은 경험 | 컬리의 강제성을 지닌 마케팅 팝업창 → 다크패턴
최근 나온 컬리의 쿠폰 및 특가등 혜택정보 안내(마케팅 동의)팝업창은 사용자의 익숙한 플로우를 이용하여 강제성을 가지고 동의를 유도한 사례로 안좋은 경험으로 인지.
사용자의 익숙한 플로우를 이용했다고 확인할 수 있는 이유는 다른 서비스의 팝업 창의 경험을 다시 생각해보면 확인할 수 있음
잘 정리된 다크패턴 사례 : https://germweapon.tistory.com/386?category=346123
2. 윤리적 책임 | 리뷰
리뷰를 통한
기업의 목표 : 다른 사람의 후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선택의 신뢰를 주고자 함.
최종 사용자의 목표 : 이용을 위한 정보 수집을 위한 리뷰 참고.
악의적 리뷰 로 윤리적 이슈 발생했음.
네이버 마이플레이스의 연결하는 역할은 ?
1.
영수증 리뷰를 통해 허위 리뷰를 방지하고
2.
키워드 리뷰를 통해 '장소 특성 확인'으로 리뷰 역할 재정의 시도
→ 결과는 아직 알 수 없기에, 리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함.
리뷰 기능 관련 참고 : http://icunow.co.kr/service-scan3/
2+. 윤리적 책임 | 믿을 수 있는 사용자 인증
이미지 출처 : 브런치, 당근마켓이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下) UX편 (김아영)
중고거래의 '사기'의 윤리적 문제를 '동네인증/매너온도/활동뱃지' 등으로 해결한 대표적인 연결 사례!
기업의 목표 : 중고 거래 플랫폼
최종 사용자의 목표 : 믿을 수 있는! 중고 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의 연결하는 역할은 ?
1.
동네인증으로 신뢰 up → 동네인증 횟수로 → 정보 주기적 관리
2.
매너온도 누적관리로 신뢰 up
3.
활동뱃지로 신뢰 up
→ 성공 이후의 성공 포인트를 찾는 것은 모든 것을 의미 부여할 수 있지만, 문제 해결의 역할을 한 것은 분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