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12 | 컨버티드 : 마음을 훔치는 데이터분석의 기술

이 책을 읽은 이유

데이터기반 사고 잘하고 싶어서….
프로젝트가 끝나면 사용자 터널에 따라 데이터 추이를 확인하고 있다. 근데 이때 드는 생각, ‘이렇게 보는 거 맞아?, 결국 내 생각대로 판단한 거 같은데…?’ → 이에 대한 해답(또는 방향)을 찾고자 데이터와 관련한 책을 반복해서 찾아보고 있다.
이 책은 데이터 판단 방법보단, 데이터를 봐야 하는 이유를 설명해 주는 것 같았다. 아쉽게도 고민 해결은 되지 않았다. (그래도 재미있게 읽었다.)

■ 핵심 정리

서비스 안팎에서 사용자와 대화할 수 있는 모든 접점을 활용할 것.
이를 위해 데이터가 필요한데, 이를 예측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것.
이게 가능하려면, 작고 빠른 타깃 대상 실험은 필수!

■ 내용 정리

PART 1. 대화 | 어떻게 인간의 욕망을 읽을 것인가
1.
대화를 나눠라 (WHY)
고객에 욕망을 파악하기 위해서, 대화를 걸기
왜? → 직접 물어봐야 정확함
2.
쉽고 단순하게 시작하라 (HOW)
고객정보(데이터)가 많아질 수록, 더 많은 정보를 놓치고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함
우리는 → 중요한 신호를 인식하는 방법, 그 신호에 과도하게 집착하지 않는 법을 배워야 함
 데이터를 다루는 원칙 3 (선택과 집중)
3.
정확한 질문을 하라 (HOW)
 서비스가 어땠나요? → 좋았어요.
 저희가 더 잘할 수도 있었는데 그러지 못한 점이 있었나요? → blah blah…
→ 솔직한 답변 유도 가능
 질문 기술 4
(…아 심금 울린 내용만 옮겨 적어야 겠다…내용 너무 많네^_ㅠ)
4.
인간적인 특성을 표용하기 (HOW)
(행동경제학/심리..)
5.
힌트 포착하기 (HOW)
  구글이 힌트를 발견하는 방식
‘이 사람들은 구글 워크스페이스 서비스를 구매한 사람들과 얼마나 비슷할까?’
‘이사람들에게서 확보한 힌트들이 우리에게 말해주는 것은 무엇일까?’
→ 사람들을 특성에 따라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여 다음을 예측함
p.84 참고이미지
 신호를 찾는 방법
 똑똑한 데이터 수집 방법
6.
대화의 주도권 잡기 (HOW)
 대화를 유도하는 방법
PART 2. 관계 | 어떻게 인간의 욕망을 움직일 것인가
7.
누구의 마음을 움직일 것인가 (WHO)
→ 충성고객
8.
데이터로 현실을 파악하라 (HOW)
→ 고객 생애가치 (CLV)로 파악
 고객 생애가치를 측정하는 가장 쉬운 방법
9.
가치가 높은 고객을 만나라 (WHO)
10.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라 (HOW)
11.
잘안되면 미련없이 돌아서라 (HOW)
12.
구글 광고 프로젝트에서 얻은 교훈 (HOW)
표본 크기를 크게 잡고, 실험할 것
가치가 높은 고객의 범위를 너무 좁게 규정하지 말기
13.
사람들의 욕망에 호기심을 가져라 (HOW)
PART 3. 발전 | 어떻게 더 뛰어난 성과를 낼 것인가
HOW to →
작은 것 부터 시작하기!
이해 관계자 관점에서 설득하기!
테스트를 일상화하기!
레드팀 따로 배치하기! → 새로운 관점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팀

■ 나의 생각/관점

읽을 때는 ‘당연한 이야기’라서 쉽게 읽혔고,
정리할 때는 ‘당연한 이야기’라서 요약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이 책을 읽길 잘했다고 생각한 이유는, ‘당연한 것도 못하고 있었구나…’를 느꼈다.
이 책에서 자주 등장하는 ‘대화’란 → 설문조사의 ‘대화’도 있지만,
서비스내에서 사용자를 만나는 카피가 포함된 모든 접점을 ‘대화’라 말한 것 같다.
고객과 ‘대화’를 잘하기 위해서, ‘데이터’를 활용하라 하는데
데이터를 활용하는 행동 중 하나는 ‘예측하는 용도’라 말하는 것 같다.
그동안 나는 데이터로 ‘결과’로 ‘검증’을 주로 해왔다면(AS-IS), → 데이터로 ‘패턴’을 찾아 ‘예측’을 해보는 역량(TO-BE)을 키우고 싶다. 이에 대한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지침은 ‘뾰족한 타깃’, ‘가치 있는 타깃’을 중점으로 접근하라는 점도 명심해야지!
데이터와 별개로, 최고의 성과를 내는 사람들 파트를 보며 앞으로 성장하고 싶은 모습(TO-BE)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최고의 성과를 내는 사람들
스토리텔러 → (성장하고 싶은) 모습
일을 만들어내는 사람
배우며 성장하는 사람
스토리텔러의 특징
더 많이 상상할 수 있도록, 읽고 → 논리적으로 쓰고/말하고/적고 → 상대의 말로 쉽게 전달할 때까지 연습x3 해야겠다!!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