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05 | 훅 : 일상을 사로잡는 제품의 비밀

이 책을 읽은 이유

사용자 마음 훔치고 싶어서…
제품을 만드는 것보다, 사용자를 유입시키는 것이 어렵고 → 유입하는 것보다, 더 자주 사용하게 하는 것이 어렵고 → 더 자주 사용하는 것보다 돈을 지불하게 하는 것이 어렵다… 제품을 만들고 운영하는 것은 참 어려운 일이다.
이 책을 읽으면… 만든 제품을 사용자의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스며들게 할 수 있을까? 라는 바램으로 읽어 봄

■ 핵심 정리

제품을 습관으로 만들기 위해서 → 사용자의 일상에서 → 행동과 감정을 관찰해서 → 제품으로 제안하자
근데 제품을 만드는 사람으로서 “조력자”가 되어야 한다. (* 조력자 : 사용자의 생활을 실질적으로 개선하되, 스스로도 사용할 제품을 만드는 것.)
→ 이를 가능하게 하는 프로세스가 바로—! : 훅 모델!

■ 내용 정리

WHY | 훅 모델이 필요한 이유 : 제품의 습관화
습관이 뭔데? → 의식하지 않고 행동하는 것
훅모델이 뭔데? → 사용자의 문제와 해결책을 자주 연결시켜 → 습관으로 자리잡게 하는 프로세스
HOW | 훅 모델 4단계 과정 : 1) 트리거 → 2) 행동 → 3) 가변적 보상 → 4) 투자
트리거? 그게 뭔데! →
계기 : 어떤 행동을 하게 하는 시작 장치
새로운 습관을 만들 때, 처음에는 외부트리거(마케팅/CRM…)로 촉발되지만 → 사용자를 계속 붙잡는 것은 내부트리거(감정/사고 : 사람의 마음 속에 자동적으로 떠오르는 것)와의 연결고리가 필요함
행동? 어떻게 만드는 건데! →
쉽게 만들고 / 동기를 부여하고 / 제품력이 좋고 / 트리거(계기)가 존재하고…
보상 왜 주는 건데! →
보상이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와 연결이 되기도 하고 / 내부트리거 - 동기와 조화를 이루다 → 제품을 성공으로 이끔
보상의 종류 : 종족 보상/수렵 보상/자아 보상 (대부분 한 가지 이상을 활용함)
a.
종족 보상 :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존재감을 알리는 것
b.
수렵 보상 : 무언가를 획득하여 생기는 것
c.
자아 보상 : 자기 자신을 위한 것
투자가 꼭 필요한 이유는? →
3단계까지의 과정은 일회성으로 끝날 수 있지만, 4단계가 완성되면 → 반복+자발적인 참여가 이뤄짐
투자에도 사용자의 행동이 요구되는데, 2단계의 행동가 어떻게 다른 건데! →
a.
행동 : 즉각적인 만족을 위한 행동
b.
투자 : 장기적인 보상을 위한 기대로 행동
훅모델이 말하는 투자는? → ‘사소한 노력’이 쌓여서 → 점점 일상에 스며들도록…
이 책을 통해 해야 할 일 - 전체 질문

■ 나의 생각/관점

내가 해결해야 할 문제가 무엇인지가 아니라 / 나를 위해 다른 누군가가 해결해주었으면 하는 문제가 무엇인지를 스스로에게 물어야 한다. “
나의 관점으로 생각해 보면, 처음 경험하는 일을 마주할 때 ‘불안/긴장'을 느끼곤 하는데 → 이때 내가 ‘믿을 수 있는' 누군가가 → ‘방향’이라도 잡아주면 좋겠어. → 그럼 내가 좀 더 ‘효율적'으로 시간을 보내고, 스스로 ‘방법'을 찾을 수 있을 텐데..라는 바램이 있음
우리 서비스에 오는 사용자도 이런 걸 원할까?

 관련하여 더 알아보기

용어 정리
용어
의미
참고
고객생애가치
한 명의 고객이 다른 경쟁업체의 제품을 구입하거나 해당 제품의 사용을 중단/사망하기 전까지, 그 고객으로부터 벌어들이게 되는 총액
계기 Trigger
어떤 행동을 하게 하는 시작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