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15 | STICK 스틱! : 1초 만에 달라붙는 메시지

이 책을 읽은 이유

UX writing 이유를 바탕으로, 잘 쓰고 싶어서…
그냥 글쓰기가 아닌, UX Writing이라 말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행동을 만들기 위함’의 구체적인 목표가 있기 때문이라 생각한다.
그럼 나는 어떤 행동을 설계하고 싶은가?
니즈 → 사용자가 서비스 안에서, 설계해 놓은 스토리 기반으로 ‘행동’하게끔 만들고 싶다.
그럼 나는 무엇을 공부해야 하는가?
액션 → 사용자가 어떤 메시지에 반응하는지 몇가지 원칙을 정리하고 서비스에 적용해 보자!
라는 이유로 이 책을 읽어봤다.

■ 핵심 정리

사람들이 주목하고, 행동하게 만드는 메시지가 지닌 공통점
1.
단순성 → 핵심을 찾고, 주변 메시지를 연관지어(그룹핑) 비유로 설명하는 것.
2.
의외성 → 호기심을 갖게 하는 것
3.
구체성 → 추상적인 설명을 배제하고 설명하는 것
4.
신뢰성 → 체험할 수 있도록 제시하거나, 통계적 수치를 활용할 것
5.
감성 → 직관적으로 전달하여 터치할 것
6.
스토리 → 연상할 수 있도록 제시할 것

■ 내용 정리

원칙 1. 단순성 | Simplicity (강한 것은 단순하다)
세밀한 계획을 전달하기 보단, 명확한 의도전달과 + 핵심 행동 1가지 제시가 더 탁월할 수 있음
단순함 = 메시지의 핵심을 찾는 것 = 숨어있는 본질을 발견하는 것
HOW? → 불필요한 요소 제거하기
단순한 메시지 = 핵심 + 간결함(단순한 요약 X)
‘결정적인’ 목표 O‘이로운’ 목표 X
조직 구성원에게 ‘단순한’ 메시지를 전달할 때는 →
조직의모든 사람들이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을 만큼 확실하고 상세해야 함
단숨함에 가치를 더하는 방법은 →
기억/경험을 활용할 것.
WHY? →
메시지에 대한 이해력과 기억력을 향상시키므로
원칙 2. 의외성 | Unexpectedness (듣는 이의 추측 기제를 망가뜨려라)
사람들의 관심을 끄는 기본 방법 : ‘패턴을 파괴하는 것’
우리가 고민해야 할 것
사람들의 관심을 어떻게 끌 것인가? → 놀라움
그것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가? → 재미
우리가 의사소통할 때, 적용하면 좋은 방법 →
HOW? →
‘어떤 정보를 전달해야 하는가’ → ‘내가 바라는 청중들의 질문은 무엇인가?’로 전환할 것
원칙 3. 구체성 | Concreteness (지식의저주를 깨뜨리는 법)
구체성이 필요한 이유
WHY? →
추상적인 개념은 메시지를 이해하고 기억하기 힘들게 만들며, 또한 다른 이들과 조화롭게 행동하기 어렵게 만든다.
WHY? →
사람에 따라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에!
구체성은, 우리의 이해를 도움
우리의 지식과 지각력을 구성하는 기본 토대 위에 더욱 심오하고, 더욱 추상적인 통찰력을 쌓아올릴 수 있도록 도와줌
우리가 의사소통할 때, 적용하면 좋은 방법 →
HOW? →
‘공통 언어’찾기
모든 이들이 이해할 수 있는 공통어란? → 구체적인 언어!!
e.g) SONY<휴대용 라디오>, NASA<10년 안에 인류를 달에 착륙시킨다>
고객과 구체적인 언어로 소통하려면? →
고객들의 필요를 정확하게 파악하면, 구체적인 메시지 디자인이 가능함
원칙 4. 신뢰성 | Credibility (내말을 믿게 만들어라)
신뢰를 얻는 방법1. 권위
1-1. 전문가 집단의 ‘권위
1-2. 유명인사와 동경의 대상인 인물들의 ‘권위’
신뢰를 얻는 방법2. 반권위 → 주변사람들의 경험
WHY? →
이익을 바라지 않은 주변인들의 경험기반의 말은 ‘정직성’과 ‘신뢰도’를 지닐 수 있음
신뢰를 얻는 방법3. 생생한 세부 사항 나열
BUT!! →
이때도 핵심과 진실한 세부사항이 바탕이 되어야 함!!
그럼 이런 메시지는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까? →
숫자 활용 → 단, 숫자와 메시지 사이의 연관성을 갖고 있어야 함
검증가능한 신용 메시지 담기 → 직접 체험/시험해 볼 수 있도록
원칙 5. 감성 | Emotion (감성이 담긴 메시지는 행동하게 만든다)
감정적인 경험  분석적인 사고
→ 감정은 행동을 만듦
사람들의 어떤 심리를 활용할 수 있을까? →
1.
자기 자신의 이익
사람들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 : 자기자신
→ 청중이 얻을 수 있는 이익을 보여줄 것 : WIFYWhat’s in it for you : 당신에게 좋은 것
이때 주의할 점! : 대중이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닌, 지금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이 얻을 수 있는 것
2.
정체성
e.g) OO인이라면, NN하게 행동하세요. → OO라는 정체성/이상향 터치.
원칙 6. 스토리 | Story (머릿속에 생생히 행동하게 만든다)
스토리 가 줄 수 있는 가지
1.
시뮬레이션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지식)
2.
영감 (행동에 대한 동기)
→ 시뮬레이션/영감은 사용자의 행동을 만들 수 있음
스토리의 역할
: 지식을 보다 일상적이고 근원적인 존재, 삶에 가까운 형태로 만들어 보여주는 것 → 시뮬레이터와 비슷
스토리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
: 단순한 핵심 메시지를 만들어 전달하기
: 말하고자 하는 바를 반영하여 제대로 전달하기
스티커 메시지 : 의사소통 구조
1.
관심 만들기 → 의외성
2.
메시지를 이해하고 기억하게 만들기 → 구체성
3.
동의하고 신뢰하도록 만들기 → 신뢰성
4.
각별히 여기도록 자극하기 → 감성
5.
행동을 유발하기 → 스토리

■ 나의 생각/관점

이 책을 읽고, 추가로 궁금해진 것. → 통찰은 어떻게 키우지?
: 이런 메시지를 담아내려면, 올바른 통찰이 필요하다고 저자가 말했다.
그리고 사실 이 책은 읽어도 실무에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모르겠다.
umm…이번 스프린트의 프로젝트 회고를 이렇게 작성해볼까?
아니면 2023년에 스스로에게 바라는 점은 독립적인 사람이 되는 것인데 → 나의 글을 적는 것에 활용해 보는 것부터 시작해 볼까? (Hmm… 진짜 사람들이 반응하는지, 송출?까지도 해봐야지)
■ Appendix
 용어
확장 가능한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