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게 적합했던 기술 개발 사례
1.
스마트홈
생활공간+사물인터넷(IoT)=스마트 홈
사람의 패턴 분석을 통해 선호하는 환경으로 자동 제어. 외출이나 귀가 시 조명·난방·가스·방범 등 세대 내 기기를 자동으로 제어해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보안 강화, 생활의 편리함까지 제공함.
스마트홈 기능은 특히 1인 가구에 더 유용한 기능일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 이유는 2012년 국민생활안전실태조사 ‘주거침입관련 범죄 피해 가구 특성’에 관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1인가구를 대상으로 한 범죄가 전체 범죄 건수의 30% 이상을 차지한다고 보고되었다. 또한 ‘1인가구 밀집지역의 안전실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1인가구 밀집지역이 비밀집지역 대비 2~3배의 범죄발생률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은 20~30대 여성 1인가구에게서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1인가구가 늘어나며(지난해(2019년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의 1인 가구 수는 614만8000가구로 2018년보다 29만9000가구(5.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공간 안에서 일어나는 방범을 비롯한 안전문제, 에너지 절약을 기술로 극복하고, 생활패턴에 편리함을 주는 대표적인 사례라고 생각한다.
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4/27/2020042703074.html
https://www.sciencetimes.co.kr/news/스마트-홈으로-거주-공간이-똑똑해지다/
2. VR 휴먼
2020년 2월 6일, MBC 스페셜 VR 다큐멘터리 ‘너를 만났다’
네 아이의 엄마인 장지성씨의 사연 → 2016년에 먼저 하늘나라로 떠나보낸 딸에게 미역국을 끓여주고, 사랑한다고, 한 번도 잊은 적 없다고 말해주는 소원을 VR기술을 통해서 연결한 사례.
VR이라는 기술을 게임을 통해서 경험한 후, ‘어지럽다’라는 느낌과 게임에 흥미가 없던 터라 개인적으로 경험의 연속성 측면에서는 매력도가 떨어진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해당 사례는 VR기술을 휴먼터치로 연결해, 많은 사람들에게 공감을 얻은 사례라고 생각한다.(조회수 2000만을 넘기며 국내를 넘어 전세계에서 반응을 얻음)
가족, 친구 등 지인과의 이별은 모든 사람의 일생에 있다. 이 과정은 모두에게 쉽지않은 과정인데, 기술을 통해 위로를 받을 수 있는 접점을 만들 수 있다는 것이 새로웠고 기술의 긍정적 효과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