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44 | 직관의 폭발

이 책을 읽은 이유

직관도 학습이 가능할까? 도움을 받아보고자 읽어봤습니다.

■ 핵심 정리

직관 > 논리적사고
: 직관이란 뇌의 넓은 범위에 축적된 기억에서 비롯한 것으로, 논리적 사고를 포함할 뿐 아니라 그보다 훨씬 고차원적인 뇌의 작용
: 직관이란 이 모든 것을 종합적으로 결집하여 무의식중에 내리는 판단
이때 도움이 되는 것 : 1) 전문 외 지식 접하기, 2) 기쁨의 역치 낮추기, 3) 미래에 대한 기대감 갖기, 4) 취미를 깊이 경험하기, 5) 운동하기, 6) 타인과 함께하기, 7) 내적인 동기를 적극 활용하기, 8) 호기심을 꾸준히 갖기
중심 방향 : 1) 항상 “왜?”라는 질문을 던지며 생각하기, 2) 퍼져있는 경험들을 연결해보기

■ 내용 정리

Intro
1장 최적의 직관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 직관의 메커니즘
2장 ‘집중하지 않는 힘’은 왜 필요한가 - 뇌의 양대 시스템, 분산계와 집중계
 3장 직관력을 폭발시키는 방법 - 무의식의 기억을 넓게 연결하다
4장 데이터와 수치만으로 최적의 결정이 불가능한 까닭 - 논리와 직관은 대립하지 않는다
5장 AI 시대, 어떻게 뇌를 최적화할 것인가 - 이세돌의 78수를 AI가 예측하지 못한 이유
6장 오감 자극은 뇌를 확장한다 - 일상에서 직관력을 키우는 법

■ 나의 생각/관점

직관에도 논리에도 중요한, WHY→ WHY→ WHY!!
⇒ 기억 네트워크를 늘리기 위해 중요한 것은 항상 “왜?”라는 질문을 가슴에 간직한 채 사안을 살펴봐야 한다는 점이다. (p.123)
직관은 건강한 내적힘에서 나올 수 있음을 확인함.
⇒ 미래를 향한 기대감에는 자신의 한계를 확장하고, 주위를 탐색하며, 틀을 뛰어넘어 생각하고, 창조의 욕구를 만들어내는 힘이 있다. 기쁨은 인간의 뇌를 집중해서 해방해 보다 광범위하게 사용되게끔 만든다. 그리고 이는 뛰어난 직관으로 이어진다. (p.102)
⇒ 내발적인 동기는 해당 행위 자체에서 기인하므로 오랜 시간 지속되며 그로 인한 기쁨과 만족감 또한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용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