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 선택 이유
모빌리티 플랫폼, BM 그리고 확장 전략까지 이해도를 높이고자 선택함.
내용 정리
Background | 승차공유플랫폼 활성화로 바뀐 현재와 미래의 모습은?
•
현재 : 이제는 택시를 타기 위해 불필요한 이동없이 스마트폰으로 호출함
•
미래 : 음성 인식기술과 자율주행 자동차 등장으로, 휴대전화(또는 기타 연결된 장치)에 말을 해서 무인 자동차를 호출하는 모습
Case study | Uber & Lyft
참고
브랜딩 | Qualitative
BM과 전략 | Business Models and Strategies
가치평가 | Fundraising and Valuation Growth
공공 시장 내 평가 | Public Markets Value
모빌리티는, 승자 독식이 없는 시장 왜?→
한 마디로 정리
•
승차 공유 플랫폼은 라이더-승객의 충성도가 높지 않은 시장
WHY? → 거리에 따른 가격/ 소요 시간에 반응하는 행동을 보임
20% 미만의 사용자가 하나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충성도를 보임
•
두 회사 모두 라스트마일/UAM에 집중 투자하며, 모든 운송의 원스톱과 미래가 되고자 함
•
Uber는 규모와 글로벌 시장 성장을 / Lyft는 빠른 성장궤도를 보여줌
•
승차 공유 플랫폼이 앞으로 더 기대되는 이유는?
WHY? →
1) 주택 다음으로 가장 큰 가계 지출 범주 : 차량-!
2) 아직 점유하지 않은 시장이 차지한 부분보다 훨씬 큼
나의 생각/관점
아! 서비스 가입 이후, 전환 비용을 만들기 위해서라도, 멤버십 가입 유도가 필요하겠구나!
라스트마일까지 책임지며, 서비스하나로 전체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구나!
단어
- Hail : (택시버스 등에[을]) 신호를 보내다
- ride-hailing platforms : 승차 공유 플랫폼
- summon : (=call)
- head-on : 정면에서
- on-demand economy : 주문형 경제?
- moat : 호, 해자(성 주위에 둘러 판 못)
→ The business model is easy to replicate and there is no moat.
- Addendum : 부록
- Takeaways : 내용
용어
•
Ride-haliling
: 자영업 드라이버가 마켓 플레이스 앱을 통해 이동을 요청하는 손님에게 그들의 차를 사용하여 주문형 경제 내에 활동하는 것
•
Gig economy
: 플랫폼을 통하여 수요자와 공급자가 쉽게 연결되면서 기업이 필요에 따라 단기 계약직이나 임시직으로 인력을 충원하고 그 대가를 지불하는 경제를 의미 (출처 : 공유허브, 공유경제와 긱 경제)
기존 프리랜서와는 어떻게 다르지?
- [기존] | 기업이 직접 채용하고 정식 계약을 맺은 내부 노동력을 기반으로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함
- [긱 경제] | 기업이 수요에 따라 초단기 계약형태로 자원 공급자를 활용
+ 이 과정에 플랫폼은 공급자/수요자의 관계에 적절히 개입하고 통제함
•
Ubiquitous
: '사용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컴퓨터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환경'을 의미(출처 :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