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12. 원스토어

서비스 | ONESTORE 원스토어

대한민국 이동통신 3사 와 포털 사이트 네이버의 통합 앱 스토어
원스토어 기사 스크랩
참고
원스토어 IA

이 서비스 이런 이유로 궁금했어요!

안드로이드하면 구글플레이, IOS하면 앱스토어가 가장 먼저 떠오르지만, 원스토어가 가장 먼저 떠오르진 않는다. 하지만, 최근 원스토어가 흑자전환을 했다는 기사를 접하며 구글-애플 사이에서 어떤 차별점으로 영역을 넓혀가고자하는 지 조사해보고자 했다.
서비스 WOW POINT!
1.
사용자 관점 : 15가지의 세분화된 취향태그와 8가지의 게임 카테고리구분으로 추천의 명확성 높이기
(게임을 이렇게 세분화할 수 있다고? 이래서 나한테 추천하려는 거구나! 의 경험)
2.
공급자 관점 : 신규앱도 사용자에게 더쉽게 닿을 수 있는 환경 제공하기

이런 부분 좋아요!

1.
사용자관점 : 세분화된 게임 카테고리와 취향태그로 추천의 명확성 높이기
원스토어는 세분화된 게임 카테고리와 취향태그로 게임을 구분합니다. 그리고 사용자에게 명확한 이유로 해당 게임을 추천하고 제안합니다. 사용자는 작성된 #취향태그를 통해 게임을 다운받기 전, 앱에대한 높은 이해도를 가지고 서비스진입이 가능합니다.
2.
공급자관점 : 신규 앱도 사용자에게 쉽고 빠르게 닿을 수 있는 환경 제공하기
게임업계의 SME 공급자들 역시 신규앱 출시시 대기업을 상대하기 어려운 구조일 것이라 예상됩니다.
특히나 신규앱을 사용자가 바이럴이 될 확률은 더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원스토어는 게임 네비게이션내 상단 3번째 탭을 ‘신규’로 정하고 이를 통해 새로나온 어떠한 앱도 사용자에게 더 쉽고 빠르게 닿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습니다.

이런 부분은 조금 아쉬웠어요!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UX라이팅 환경이 필요해요!
1) 툰앤북에 들어왔는데, 패스? 원스토리? 지금 나는 어디 있는거지? 새로운 사용자는 패스/원스토리가 뭔지 모르겠어요!
→ 상단 메뉴의 이름만 통일화해줘도 혼란을 줄일 수 있을 거라 생각해요!
2) 그 밖에도 ‘인앱구매'라는 단어는 사용자관점에서 평소 사용하는 언어가 아니라 쉽게 이해하기 어려웠어요. → 이를 ‘앱내구매'로 수정해준다면 이해도를 조금더 높여줄 수 있을거라 판단했어요.

저라면 이렇게 개선하고 싶어요!

원스토어가 가진 ‘숫자, 후기 데이터로 사용자의 확신 UX를 높일 수 있다면?’
예를 들어, 인기 앱이라면, 사용자들의 후기를 상단으로 올려서 소셜프루프를 극대화할 수 있어요!
사용자들은 상품을 구매하기 전, 상품 정보만큼이나 후기 확인으로 구매에대한 신뢰가 높아지는 심리를 보입니다.
1) 소셜프루프로 다운로드 전, 후기 정보로 확신도 높이기 : 사용자 후기를 앞으로 가져와서 후기사용자 네트워킹을 앞단으로 보내 사용자가 더 빨리 후기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UX를 만들어 줘요!
추가 내용
2) 1~226위까지 단순 나열이 아닌, 이번 달 최신 226개 앱이 출시로 숫자 강조하기
: 이러한 숫자 강조는 해당 서비스가 많은 게임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있는 모습 보여주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해요!
추가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