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Duplicate

Amazon MarketPlace | 아마존 마켓플레이스

Amazon MarketPlace | 아마존 마켓플레이스

서비스
: 오픈 마켓 모델 기반, 판매자와 구매자가 거래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 → 이외에 관여하지 X
수익모델
: 플랫폼 월회비(판매자) / 판매 건당 수수료 + 광고 수수료 + 추가 매출 (리뷰 프로그램 참여를 원하는 판매자로부터)
이점
: 전문적인 유통 경험/지식 없이도 제품만 있다면, 아마존 마켓플레이스를 통해 판매를 시작할 수 있음
한 줄 메모 : 아마존 서비스를 몸소 체험해 보고 싶다. 얼마나 편리하길래 이렇게 돈을 더 내더라도, 지속 이용하게 하는지.. 서비스가 얼마나 끊임없이 편의성을 제공하는지.. (글로 봐선 모르지~ 경험해 봐야 공감하지~)

형광펜&꼬리물기

아마존 마켓플레이스 수익 공식 → 판매자 특성별 다른 수수료 부과 방식
꼬리물기(사업 기획관점)
판매자의 판매 수수료 : 팔고자 하는 상품 수 / 종료에 따라 다르게 비용 청구
a.
개인 플랜 : 기본 카테고리기반 제품, 월 40 건 이하 판매자 → 건당 0.99달러 수수료 부과
b.
프로패셔널 플랜 : 기본 카테고리외 제품 취급 / 월 40건 이상 판매자 → 39.99 달러 기본 납부 + 카테고리에 따라 평균 15% 수수료 추가 지불
판매자의 풀필먼트(FBA) 이용 수수료 : 창고 보관/배송 서비스 아마존가 대신 처리함
제품의 무게 / 사이즈 / 배송 거리 등을 기준으로 차등 적용된 수수료 추가 지불
아마존 키워드 광고
: 빠른 시간 안에 구매자의 이용 후기를 모아 → 판매자들이 키워드 광고를 활용할 수 있도록
아마존이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은? → 편의성과 다양화로 거래 순환 구조 만들기
꼬리물기(기획 관점)
(이용자의 의존도를 높이는) 거래 순환 구조 설계
a.
판매자 : 아마존 사이트 내 구매 고객 수가 많을수록 → 판매자는 아마존에 더 많은 상품을 판매하게 됨 → <이 과정의 반복> → 아마존 마켓 플레이스의 제품 포트폴리오는 다양해짐
b.
구매자 : 아마존 내에 사고 싶은 상품이 더 많아질수록, 재방문하게 되는 순환 구조 형성
안전한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보장
: 지역의 정책에 어긋나지 않게 국가별 플랫폼 구축
사업 확장 외 판매자의 번거로움 덜어주기
: 풀필먼트 서비스 : 재고 보관부터 판매 후 배송, 반품 그리고 환불의 경우까지 모두 하나의 플랫폼을 통해 관리 가능
a.
판매자 : 편의성 제공
b.
구매자 : 빠른 배송과 확실한 고객 서비스 제공

적용해보기

아마존 풀필먼트 센터는 뭐가 다를까?
셀러(판매자)가 누리는 혜택
1.
무료배송 (FBA로 등록된 상품이라면,)
아마존 프라임(유료 멤버십) 고객 대상 2일 내 무료배송 (단 하나의 소액상품만 구매해도!)
일반 고객 대상 25달러 이상 구매 시 무료배송 가능
cf.) 배송 기간 → 통상 1주일 이내 배송이 됐지만 최근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2주일까지 기간이 늘어났음
무료배송이 왜 혜택이야? →
소비자는 무료배송을 위해, 우선적으로 FBA 상품을 구매하게 되며
→ 이는 셀러의 매출 증대로 이어지게 됨
→ 실제로 셀러 커뮤니티에서는 FBA 등록 후 매출이 크게 증대된 사례를 흔히 찾아볼 수 있음
2.
아마존 자체 서비스를 고객 서비스에 활용
라이브챗(Live Chat) : 24시간 365일 제공 → 기다림 없이 즉각 접속 가능하고
→ 한 번의 채팅으로 거의 모든 애로사항이 해결 가능
e.g) 배송받은 상품에 하자가 있다고 얘기하면 → 즉시 환불을 해주거나 재발송을 해줌
i.e) 아마존 상담원은 거의 모든 권한을 갖고서 즉시 고객의 불만을 해결해줌
3.
이용이 간편하며 / 합리적인 수수료만 지불하면 됨
아마존은 셀러가 사용하는 보관 공간 및 실제로 처리되는 주문 건에 대해서만 수수료를 청구
배송비는 따로 청구하지 않음 (수수료에 포함됨)
아마존 풀필먼트 센터에 보관된 상품을 활용해 → 다른 판매 채널의 주문을 처리할 수도 있음 (오 ?_?)
FBA 서비스 구현 위해 "로봇·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에 투자"
드라이브유닛(Drive Unit) : 선반 운반 로봇
→ 고객이 주문한 상품이 보관된 선반을 자동으로 찾아서 상품을 운반
로보스토우(RoboStow) : 화물을 옮기는 로봇 팔
→ 최대 24피트(약 7.3m) 높이에 있는 3천파운드(약 1,360kg) 중량의 화물을 이동할 수 있음

 관련 링크

 용어 정리

FBA(Fulfillment by Amazon) : 셀러는 아마존 풀필먼트 센터에 상품을 보관하고 → 아마존이 해당 상품의 선별, 포장, 배송 및 고객서비스를 모두 담당 : 기존 물류센터가 유통 과정의 일부에 불과한 반면, → 아마존 풀필먼트 센터는 앞서 소개한 것처럼 기존에 셀러가 처리하던 대부분의 업무를 아마존이 대신 처리함 → 일정 수수료만 지불하면 아마존이 상품의 보관, 선별, 포장, 배송, 고객서비스를 모두 처리하기 때문에 → 셀러는 오직 고객 확보와 사업 확장에만 집중하면 됨 (KDI, 2020.06)
PPC (Pay Per Click)
: 광고주의 사이트를 방문하는 클릭 1회당 광고주가 광고비를 지불하는 비용
(출처 Seemingly Online, 티스토리 )
아마존 PPC 종류
Pull Ads (풀 광고) : 직접적인 구매 전환보다 브랜드에 대한 인지를 높인 후 잠정적인 구매 전환을 이끌어 내는 광고
Posts / Amazon live / Amazon DSP / Brand Store
Push Ads (푸쉬 광고) : 구매자가 검색 후 바로 구매 전환을 이끌어내는 광고
Sponsored Products / .. Brands / .. Brands Video / .. Display
(우리가 몰랐던 브랜드의 비밀, 202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