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성장의 선순환

 주제

성장은 결코 멈춰선 안된다 ”

변화에 대응하지 못할 때 우리의 성장 엔진은 꺼지게 되니까 (=성장 정체)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경우
새로운 경쟁자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제품/서비스의 약화를 인지하지 못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포용하지 못할 때 등
눈에 띄는 커다란 혁신이 있었다기 보다는 내부 관심의 부재로 인해 발생

결국 현재의 상태에 안주했기 때문에 변화에 대응하지 못한 것

❗️경쟁 우위를 확보했다고 안도해선 안된다
사례) 화상채팅 서비스 ‘스카이프’ 모바일 메신저 시장의 성장으로 페이스북 메신저/왓츠앱 등 경쟁사 다수 등장 업무 환경에 최적화된 커뮤니케이션 툴 슬랙의 성장 등 → 시장의 변화와 고객의 니즈에 발빠르게 대응하지 못한 스카이프의 몰락

그렇다면 우리는 어떠한 자세를 취해야 할까?

 항상 민첩하게 움직이자
경쟁자의 혁신 or 시장 상황의 변화 = 통제 불가능의 사각지대
항상 민첩한 자세를 취해야한다
긴장을 늦추지 않고 고객 변화를 주시하며 성장을 위한 실험 주도
사례) 비디오 앱 ‘비디’ 페이스북을 통한 홍보와 배급에 집중 → 뉴스 피드 알고리즘 정책 변화 MAU 5천만명 → 50만명 ⇒ 특정 경로에 지나치게 의존하다가, 해당 경로가 효력을 잃게되었을 때 대응하지 못함
더블 다운 = 성과 위에 또다른 성과를 쌓아 올리는 일
성공 후에도 끝까지 파보는 자세가 중요하다
효과를 발견했을 때 해당 실험을 종료하는 것이 아니라 최대치를 뽑아내는 일에 투자해보자
사례) 그로스해커스의 뉴스레터 가입률 개선 실험 실험1) 뉴스레터 신청 양식의 변화 → 가입율 700% 개선
실험2) 회원가입 절차 개선 → 22% 추가 개선
실험3) 이메일 신청 양식 개선 → 44% 추가 증가
새로운 실험 경로를 찾아보자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존 경로 내에서 새로운 실험을 만들어내기 어려운 교착 상태에 도달하면?
새로운 경로에 대한 실험을 시도해 보자
초반에는 보통 실험에 있어 경로를 다양화하기 보다 1-2개에 집중
페이드 광고로만 실험을 진행했다면 논페이드 광고 경로로 실험을 확장하는 등
 데이터 분석 역량을 개선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장 실험이 그 최대치에 도달했다고 판단됐을 땐?
데이터 시스템을 개선하고 강화해보자
데이터 추출 경로를 단순화하여 업무 리소스를 줄이는 등
 아이디어 창출 프로세스의 개방
아이디어가 고갈되어 가고 있을 떈?
타부서와 같이 외부 조언자를 아이디어 창출 절차에 참여시켜 신선한 시각을 적용해보자
아이디어 상호교류를 통한 시너지와 자극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마무리하며

그로스해킹은 전략이 아니라 사고방식이자 마인드셋
일상적인 업무가 과중되었을 때 자칫 그 중요성을 외면하기 쉽다
그렇지만 성장의 정체는 전혀 예상하지 못하는 때에 갑작스럽게 찾아오기에
잊지말자! 성장은 그 어떤 때에도 결코 멈추어선 안된다는 것을

 사례 조사

(* 발표 외 참여자는 사례 조사로 스터디에 참여합니다. 발표자는 사례조사 제외)
by. YUNA
'오늘회'서비스로 알아본 그로스해킹.. 출처
by. SANGJI
성장의 엔진꺼짐 Growth stall → : 시장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 지속적으로 혁신해야 함
사례조사 | 2023년 트렌드 & 관련 서비스
by. SOMY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