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skrabbit | 태스크래빗
미국에서도, 토끼가 빠른 이미지로 통한다는 게 재밌다.
•
‘심부름 필요한 사람'과 ‘심부름 해주는 사람들'을 실시간으로 매칭하고 → 심부름을 분배하는 플랫폼 사업
심부름 해주는 사람? → : 다양한 스킬을 가진 사람
→ 평소 위치별/스킬별/숙달도별로 DB에 등록되어 있음
•
2017년 가구업체 이케아에 인수된 후 → 2019년 기준 미국/유럽 내 70개 이상의 도시에서 서비스 제공 중
User Flow
1) 수요자 : 일자 / 필요한 심부름 지정 → 서비스 : 적합한 테이커 전문성/가격별 리스트 제공
2) 수요자 : 테이커(공급자) 선택 → 공급자 : 앱을 통해 일감 알림 받고 → 수락/거절으로 의사결정 → 임무수행
•
서비스는 어떻게 테이커(공급자)에게 알림하지? → 당일 테이커가 필요한 경우,
3) 가까운 위치의 테이커(공급자)에게 자동 알림 → 수락한 공급자와 대화 후 → 서비스 신청 확정됨
4) 일 완료 후, 수요자는 일정 금액을 태스크래빗에 지불 → 공급자는 시간당 임금을 받음
한 줄 메모 : 추가 임금을 얻고자, 서비스에 참여하는 공급자들에게 “빠른 임금 프로세스"는 동기 부여 요인이 될 수 있다. (→ 긱오코노미에 특히!)
형광펜&꼬리물기
플랫폼 비즈니스, 태스크래빗은 두 이용자(수요자, 공급자)를 어떻게 만족시킬까?
꼬리물기(기획 관점)
•
(시간이 없는) 고객 : 다양한 일처리를 도와줄 테이커(공급자)연결
◦
어떤 일처리? → 장보기, 가구 조립, 배관 수리, 줄 서기, 자녀 하교 등 다소 시간이 소요되는 일들
◦
어떤 테이커? → 태스크래빗이 자체 검증한 심부름 제공자들
•
심부름 제공자 - 테이커 : 추가적인 수입이 필요한 사람에게 수입원 제공
◦
어떻게 일을 받아? → 위치, 시간, 전문성에 적합한 요청 심부름을 선택하여 일을 수행함
◦
어떻게 수입을 얻어? → 일에 소요되는 시간과 태스크래빗에서 측정한 테이커 개인의 숙련도에 비례하여 수입을 얻음
▪
서비스가 개인의 숙련도를 어떻게 평가하지? → 심부름 후, 고객 만족도에 따라 레벨화하는 구조
15% 중개수수료 + 7.5% 안전 보장 수수료(고객 대상)
꼬리물기(기획 관점)
•
태스크래빗은 중개 플랫폼의 고민인 ‘개인 간 제2의 거래'를 어떻게 최소화할까? →
: 고객이 태스크래빗을 통해 / 같은 심부름을 / 같은 공급자에게 요청하면 → 할인 혜택 제공
좋은 공급자를 모으고, 유지하는 방법 → 공급자 네트워크 구축
꼬리물기(기획 관점)
•
좋은 공급자 모으고 —————————— 고객에게 ‘신뢰'를 제공하기
심부름 전 | 신원 조회 / 면접 과정 → 중 | 회사 유니폼 착용하고, 심부름 수행 → 후 | 고객의 만족도에 따라, 공급자 레벨화
◦
레벨이 높아지면, 어떤 이점이 생기지? →
숙련도가 높은 심부름 제공자는 더 높은 임금을 받을 수 있는 구조
태스크래빗이 가진 핵심 프로세스 : ‘실시간 정보 제공 / 실시간 결제 프로세스’
꼬리물기(기획 관점)
•
User Flow1 | 서비스가 심부름의 특성/위치/숙력도에 맞추어 추천하면 → 리스트 중 고객이 선택하는 방식
•
User Flow2 | (당일 예약시) 서비스가 자동으로 심부름꾼 배정 → 심부름꾼이 확정하는 방식
•
실시간 프로세스의 신속성을 더하는 방법, “실시간 결제 프로세스”
IF, 24시간 내로 별도의 문제 제기가 없다면 → 고객이 앱으로 지불한 금액 → 공급자에게 임금 형태로 지불
◦
공급자에게, 빠른 결제 구조가 필요한 이유는? →
: 바로 수입을 얻고자 하는 심부름 제공자들에게 플랫폼에 참여하게 하는 동기 부여 요인으로 작용함
적용해보기
서비스별 (공급자 관점)결제프로세스 알아보기
네이버 SME 결제 프로세스 : ‘빠른 정산' → 3~5일 내 정산 (etnews, 2022.05)
카카오쇼핑 SME 결제 프로세스 : 구매확정일 +3영업일에 지급 (출처, 카카오톡스토어 커뮤니티)
카카오T 대리기사 결제 프로세스 : 다음날 바로 지급 (출처, 카카오T 대리)
태스크래빗과 유사 모델인, 카카오T 대리도 24시간 안에 임금을 지불함
태스크래빗의 성공과 실패에서 배울 수 있는 점
•
서비스의 다양한 카테고리 범주는 고객 경험 최적화에 난이도를 높였음 → 버티컬로서 서비스를 확장하는 것이 더 효율적으로 성장할 수 있음
•
평판 시스템이 우리 서비스에 적합한지 고민하고 → 적용해야 함
→ 이분법적으로 평가될 수 있는 거래들에서 제일 잘 동작함
(e.g 라이드 쉐어링 / 음식배달 → 주관적 평가외에 거래 성공 여부로 평가 가능) (+ 반면, 청소 서비스에서는 평가가 주관적일 수 밖에 없음)
•
태스크래빗은 카테고리 범주가 다양하다보니, 평판 시스템의 신뢰도가 낮아짐
•
긱 이코노미 마켓플레이스에서 가장 큰 카테고리는? → 라이드 쉐어링 / 음식 및 심료품 배달
관련 링크
•
용어 정리
- 영업일
: 토요일, 일요일 또는 법정 공휴일인 날을 제외한 모든 날을 의미
: 법률 또는 기타 정부 조치에 따라 은행 기관이 폐쇄하도록 승인하거나 요구하는 날을 의미함.
: 영업일의 정의는 지역에 따라 다름
(출처, 위키백과)
- 멱 법칙 (Power Low)
: 상위 20%가 80%의 효과를 낸다는 ‘파레토 법칙'과 유사한 법칙으로서
태스크래빗과 같은 긱이코노미 마켓플레이스에서 → 특정 카테고리의 시장규모가 전체 시장 규모 중 매우 큰 비중을 차지한다는 의미로 사용됨
(Brunch, Taewoo Kim - 태스크래빗의 성공과 실패에서배우는 6가지 교훈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