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WEEK 1

01 그로스 해킹이란?

배경
과거의 ‘기획-생산-판매’ 가 작동하지 않는 현재 왜?→ 고객 취향의 세분화 / 제품 성공을 가늠하기 어려움
현재 : ‘아이디어-개발-측정-개선’ 으로 진행됨 → 그로스해킹 등장
본질
데이터기반 인사이트 → 제품/서비스 지속 개선하기
개념
크로스펑셔널 팀(Cross-Functional Team)
: 기능 조직X / 목적기반 조직O 의 협업 추구 → 효율적인 성장 실험 가능
린 스타트업(Lean Startup)
: 제품 개발 → 지표 측정 → 학습 및 개선 → 비용 최소화 / 작은 성공 경험 꾸준히 쌓기
최소 기능 제품(Minimum Viable Prodcut, MVP)
: 최소기능 제작 → 고객 피드백 참고 > 조금씩 개선 → 아이디어 검증을 위해
AARRR
: 5가지 주요지표 모니터링 → 관리
: 고객유치(Acquisition) / 활성화(Activation) / 리텐션(Retention) / 수익화(Revenue) / 추천(Referral)
정리
그로스 해킹이란?
: 크로스펑셔널한 직군의 멤버들이 모여서
: 핵심지표를 중심으로
: 실험을 통해 배움을 얻고, 이를 빠르게 반복하면서
: 제품이나 서비스를 성장시키는 것

02 전제조건 : Product-Market Fit

제품 관리자의 실수

1) 제품을 먼저 만들고, 그런 다음에야 고객을 찾는다
2) 기능 추가 X 2.3.4
: 서비스 기능 추가시 관련된 운영 정책, 고객 커뮤니케이션, 로그 기록과 수집 등 기능 추가 후 발생하는 유지보수 리소스 고려 필요
→ 앞선 리소스 중 불필요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MVP로 검증하며 나아가야 함

PMF 검증 질문

1) 우리가 생각한 ‘그' 문제가 진짜 있긴 한가?
2) 우리가 만든 제품이 그 문제를 해결한 게 맞나?
: 핵심 기능이 명확하고, 그 기능이 앞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집중돼 있어야 함
3) 이 제품을 만들면서 세운 가설이 무엇인가? 그 가설이 검증됐는가?
: 기능 조합X / 가설 조합O
→ 제품 출시 후, 이 제품을 통해 검증하려 했던 가설 무엇? / 검증 결과 어땠는지 ? 답할 수 있어야 함

PMF 확인 방법 : 3가지 지표로 확인 가능

1) 리텐션 (Retention)
Good : 초기 일정 기간 후, 기울기가 완만해지고 리텐션이 안정적으로 유지됨
Bad : 기울기 꾸준히 우하향
리텐션의 기준에는 절대 기준이 없음
→ 앱 카테고리마다, 재방문 패턴이 다르므로 / 리텐션 수치를 확인할 때는 단순 비교 대신,
→ 해당 서비스가 속한 카테고리를 감안하여 지표 건정성 파악이 필요
2) 전환율 (Conversion rate)
: 사용성/UIUX의 영향을 받는 지표.
: BUT, 불편함을 해소한 제품이라면, 사용자는 이를 감수하며 높은 전환율을 보임
전환율에도 절대 기준은 없지만, 카테고리로 기댓값은 가늠가능
→ e.g) 이커머스 : 평균 구매 전환율 3% → 선물/건강 : 2~3배 차이 → 전자기기 : 1.4%
→ 해당 서비스가 속한 카테고리를 감안하여 지표 건정성 파악이 필요
AND, 같은 상품이어도 - 친구 초대 / 광고유입 사용자의 전환율이 다름
3) 순수 추천 지수 (NPS, Net Promoter Score)
“이 서비스 주변 지인/친구에게 얼마나 추천하고 싶으신가요?”
: 3그룹으로 나눠 추천 지수를 구분할 수 있음
NPS = (적극적 추천 그룹 - 비추천 그룹) / 전체응답자
좋은 NPS의 기준은? → -1~1 사이 값
→ 적극적 추천 그룹이 비추천 그룹보다 많은 것 자체가 굉장히 어려운 일
→ 추천지수가 양수라면, NPS점수를 양호하다고 판단함
AND, 순수 추천 지수 = 팬에 대한 지표 (추천 사용자)
정리
해서는 안되는 것
: 브레인스토밍
: 새로운 기능 추가
: 잔존율/전환율 개선 실험
해야 하는 것
: 사용자를 직접만나 이야기 듣기
: 사용자 행동 데이터 분석
어떤 질문으로 사용자와 이야기해야 할까?
1) 미래가 아닌, 과거와 현재에 초점이 된 질문
2) 가정이 아닌, 경험을 질문
3) 결과가 아닌, 과정을 깊이 살펴볼 것
4) 기억이 아닌, 습관을 통해 드러난 구체적인 경험을 확인할 것
5) 일반화된 이야기가 아닌, 개인의 경험이 드러날 수 있도록 질문/답변 할 것
6) 편향된 믿음을 확인하는 과정이 아닌, 순수한 호기심으로 접근할 것
-
→ 사용자 인터뷰는, 사용자의 목소리/의견을 통해 제품에 대한 사용 경험과 맥락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과정

□ 사례 조사

by. YUNA
[그로스 해킹으로 서비스가 성장한 사례]
Dropbox
Facebook
LinkedIn
로켓펀치
[전제조건 : Product-Market-Fit PMF]
by. SANGJI
[전환율/추천지수와 관련하여 잘한 사례]
마켓컬리 - 100원 마케팅/친구추천 N원 이벤트
토스뱅크 - 공유하고, 대기번호 순서 앞당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