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ngool | 띵굴

Thingool | 띵굴

띵굴이 소비자의 이목을 사로잡은 방법
: (백화점/대형 유통시장에 없던) 소상공인 제품들을 선별 → 브랜드에 스토리를 가미하고 → 이용 후기와 같은 콘텐츠를 생성 → 블로그/소셜 네트워크를 통해 꾸준히 공유
띵굴이 소비자를 충성고객으로 만든 방법
: 비정기적 오프라인 띵굴 시장 개최 → 판매자와 소비자가 직접 만나는 장소 제공 → 관심을 매출로 연결함
띵굴 수익 모델판매자의 오프라인 매대 비용 / 판매 금액 일부를 수수료
띵굴마켓의 사업 확장
온라인 커머스 ‘띵굴마켓’
라이프스타일 편집샵 ‘띵굴스토어’
한 줄 메모 : 알고 나니, 보이니 띵굴의 콘텐츠 기획의도 “추천/소상공인/선별된”

형광펜&꼬리물기

띵굴이 전달하는 핵심가치는? → 다양한 취향의 고객 / 선별된 제품 / 소상공인을 위한
꼬리물기(기획 관점)
소비자 : “다양한 취향”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통로 / “선별된 제품”들만 띵굴로부터 소개받음
→ 유대감 / 신뢰 형성
판매자 : “소상공인 → 띵굴의 소셜네트워크 채널을 통해 제품 홍보/ 장터 참여 → 즉각적인 매출 상승
띵굴 수익 모델 → 판매자의 오프라인 매대 비용 / 판매 금액 일부를 수수료 + 그외 판매 수수료
꼬리물기(사업 관점)
오프라인 (띵굴 시장)
매대 비용 : 크기별 최소 44만원~88만원
수수료 : 판매 금액의 6.6% 부과 (→ 타 플리마켓 운영사 대비 높은 가격 )
: 그럼에도 판매자가 유입되는 이유는? → “띵굴 가족 브랜드" 가 되는 브랜딩 장점
온라인 (띵굴 마켓)
: 입점 판매자대상 판매 수수료 (약 25%)
오프라인 편집숍 (띵굴스토어) : 판매 매출
띵굴 가족 브랜드가 되는 방법은? →
판매자 : 브랜드 제안서 제출 → 서비스 : 검토 → 띵굴의 방향성과 맞는 제품 선별
만약, 비슷한 제품이 여럿 존재한다면? → 판매자는 추후 판매가 가능해질 때까지 대기해야 함
왜? 모두에게 기회를 주지 않지? → 띵굴 큐레이션 상품에 대한 신뢰를 위해
소비자 → 지속적인 방문 유도
“여기 모여있는 상품은 선별되어있네?” ”다른 커머스에서는 보기 어려운 것들이네?” → 특별하다!
띵굴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와 실현 방안은? → 오프라인 채널 + 집같은 편안한 분위기 + 상생
오프라인 : 판매자-소비자의 직접적인 만남 → 친근하게 제품 홍보/판매하는 채널을 형성
집같은 편안한 분위기 : 매대에 이를 담아, 브랜드 스토리와 가치를 높이고자 함
상생 : 판매자들과 함께 전체 수익의 1%를 기부하는 시스템

 적용해보기 & 관련 링크

추천 제품
인생 맛집
띵굴 X 브랜드 콜라보레이션
띵굴이 골랐띵 : 콘텐츠 <전통주/과일… 카테고리 : 소상공인 브랜드 나열>